본문 바로가기
재테크라이프

최근 사용 및 정립중인 매매법

by 고더리움 2025. 5. 2.
반응형

최근 많이 쓰는 매매법은 두가지로 우선 나뉜 것 같다

1. 컴퓨터기준

  - 기본차트세팅에 MFI, STORSI, RSI 이렇게 세팅

  - 해당 지표들을 하나로 합성해서 하나의 인디케이터처럼 세팅을 함

  - 세지표가 동일하게 과매수 OR 과매도 진입했을때 적극 매매

  - 혹은 해당 지표들이 캔들과 다이버전스를 나타낼때도 적극매매(1분봉)

2. 모바일기준

  - 기본차트세팅에 STORSI, WR, RSI 세팅

  - 마찬가지 과매도 과매수권일때 매매

 

해당매매로 최근 승률은 나오고 있음 (롱위주)

그런데 금일 오전에 일부 손절을 통해서 몇가지 더 기준을 정립한 것이

가. 내가 잡은 매매방식은 추세가 진행중일때 유효성이 올라가는 것 같다는 점

나. 추세가 끝나고 반대추세가 시작됐을 경우에는(예시: 상승에서 하락추세전환, 롱포지션 기준)

      1) 확실한 역추세 컨펌이 나기전까지 절대!! HTF 기준 롱포지션 잡을 생각은 하지말 것.

      2) 롱포지션을 볼 경우에도 세팅 지표를 따르되 LTF 다이버가 컨펌이 난 경우에 진입할 것

      3) 물릴경우 분할로 과매도 구간에서 추가하되 본절 혹은 손절로 리스크 관리 할 것(중요)

* [나-3] 이 중요한 이유는 오늘 상승>하락 추세 바뀌는 것을 인지했음에도 리스크관리를 하지 않았음

  - 하락추세로 전환된 것이 보였으면 역추세 다이버를 기다리던가(HTF, 주요지지구간까지)

    매매법기준으로 숏 진입을 했어야 했는데, 안일 스택 쌓으면서 본절왔을때도 자르지 않았음(후회중)

 

 

추가설명하자면(pc)

1. 추세가 살아있음을 확인하고 우선 1분봉으로 세팅한다

2. 1/5/15/30/1 프레임으로 해당 지표들 방향을 확인

  -  롱기준 해당 지표들이 동일한 위치있을때가 최적타점(ex: 1, 5, 15, 과매도, 최소 2개 지표이상일수록 확률 up)

3. 스켈이기에 1분봉상 스토캐스틱이나 RSI 다이버 컨펌 나오면 진입 + 지지저항 함께(타임프레임, 지표 2개이상 굿)

  - 지표들이 과매수구간에 진입하면 매도(최소 2개 이상)

  - 해당구간에서 과매수구간에서 다이버도 식별되면 바로 매도

 

이외에 추가로 프라이스액션 + fvg + ob는 곁들여서 매매하기

그리고 늘 HTF에서 먼저 파악하는 것이 중요하고 다이버나 추세가 확실할때는 주저말고 들어가면 된다

틀리면 인정하고 자르자.

반응형